MY MENU

상담의이론과 실제

제목

일시무시일과 일종무종일↔

작성자
nowheart
작성일
2017.12.21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333
내용

 은문천부경의 고문자는 표기가 어려워 생략하였으니 귀찮더라도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천부경 해서

  1. 일시무시일

 하늘을 이루는 순수질료인 하늘방(□)은 땅으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함축된 ??과 같은 상대성이 없는 세계로 우주라는 땅이 생겨난 근본이자 돌아가는 근원이니 하늘방(□)을 근본으로 끊임없이 땅이라는 천지(天地)가 생겨나고 소멸하는 수직수평의 음양(陰陽)운동이 일어남에 모든 천지(天地)의 시작과 끝은 일신(一神)으로부터 시작하고 끝나는 우주의 섭리를 일러 일시무시일이라 한다.

 이 문구는 땅이 생겨나고 소멸하는 즉 창조와 소멸의 수직적 음양운동의 시작과 끝을 그리고 땅이 모이고 흩어지는 수평적인 음양운동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문구라 보는데 이 모든 천지(天地)의 변화는 일신(一神)으로부터 출발하고 끝난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즉 모든 창조와 소멸의 시작과 끝은 지일신(地一神)이고 모든 모임과 흩어짐의 시작과 끝은 천일신(天一神)임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따라서 무( )자는 순수질료인 하늘의 근본을 의미하고 앞에 쓰인 시일( )은 천일신(天一神)으로부터 천계(天界)가 공간운동을 시작하고 끝남을 의미한다보며 뒤에 쓰인 시일( )은 지일신(地一神)으로부터 지계(地界)가 시간운동을 시작하고 끝남을 의미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하늘을 근본으로 시간운동과 공간운동의 최초 시작점이자 최후 끝점이 일신(一神)임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일(一)<1-1>; 천일신(天一神)을 의미<영(靈)적 의미의 최대 극을 나타냄>

 시( )<2-1>; 천일신(天一神)으로부터 공간운동이 시작되고 끝남을 나타내는 문자

 무( )<3-1>; 하늘방(□)을 의미하며 순수 질료를 나타내는 문자

 시( )<4-1>; 지일신(地一神)으로부터 시간운동이 시작되고 끝남을 나타내는 문자

 일(一)<5-1>;지일신(地一神)을 의미<혼(魂)적 의미의 최대 극을 나타냄>

 ◆ 두 개의 시자가 약간의 문자적인 차이가 있음에 주목해 주길 바라는데 <2-1>에 쓰인 비읍형태와 <4-1>에 쓰인 미음형태는 공간운동과 시간운동에 관련된 기호라 보는데 비읍형태는 공간운동상태에 있는 존재들의 상대적인 관계를 미음형태는 시간운동상태에 있는 개별적인 존재를 의미한다고 본다.

 따라서 가림토 자음과는 깊은 연관이 있는 문자라 보나 한글 자음 비읍과 미음과는 관련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고 본다.

 즉 문자와 말은 분명히 다른 것으로서 말은 일상에서 쓰는 것이고 문자는 그것을 표기하는 기호이기 때문이다.

 인간집단 속에서는 문자는 없어도 살 수 있지만 말이 없이는 하루도 살기 힘든다.

 따라서 가림토 기호에 대한 의미는 우리말과 연관지어 주로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살펴보면 그 연관성이 들어날 것이라 보나 가림토와 한글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같은 기호라도 전혀 다른 의미와 용도로 만들어 졌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의 이 사람의 실력으로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는 말밖에 할 수가 없음을 고백하며 나중에 순전히 개인적인 의견정도로 한글 자모음에 대한 뜻풀이를 천부경과 가림토 위주로 간략하게 다루어 그 진위는 다른 이들에게 맡길 생각이다.

 그러므로 우리말과 연관된 설명이 나오더라도 말과 연관된 설명이지 한글과 연관된 설명으로 바로 대입하지는 말아주기를 부탁드린다.

 수직수평의 음양운동과 관련지어 개인적인 견해로 예를 들어본다면 시옷 발음이 나는 것을 수직적인 음양운동에 대입하면 우리말 솟구치다와 수구리다는 상하의 수직적 운동 상태를 의미하고 사방과 서로 등등은 공간적인 수평적인 개념이 되어 한 지점에서 사방으로 퍼지는 흩어짐의 의미와 사방에서 한 지점으로 모인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운동을 만들어내는 중심은 당연히 일(一)이라는 신(神) 또는 토(土)의 개념이 된다고 본다.

    2 일종무종일

 하늘을 이루는 순수형상인 하늘원(○)은 땅으로 나타난 모든 천지를 감싸고 보듬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바탕이니 하늘원(○)을 바탕으로 이 속에서 끊임없이 땅이 나타나고 소멸하는 수직적인 음양운동이 일어나고 땅의 모임과 흩어짐의 수평적인 음양운동이 일어나니 모든 천지(天地)의 완성과 이지러짐, 모임과 흩어짐 또한 일신(一神)으로부터 완성되고 흐트러지는 우주의 섭리를 일러 일종무종일이라 한다.

 이 문구는 땅이 생겨나 완성되고 이지러지는 완성의 수직적 음양운동의 끝과 시작을 그리고 땅이 모이고 흩어지는 완성의 수평적 음양운동의 끝과 시작을 나타내는 문구라 보는데 이 모든 천지(天地)의 변화는 일신(一神)으로부터 완성되고 흐트러진다는 것과 모이고 흩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그러므로 모든 창조의 완성과 소멸의 시작은 지일신(地一神)이고 모든 모임의 완성과 흩어짐의 시작은 천일신(天一神)임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따라서 무( )자는 순수형상인 하늘의 바탕을 의미하고 앞에 쓰인 종일( )은 천일신(天一神)의 섭리에 의해 천계(天界)가 공간운동을 완성하는 끝과 소멸하는 시작을 의미한다고 보며 뒤에 쓰인 종일( )은 지일신(地一神)의 섭리에 의해 지계(地界)가 시간운동을 완성하는 끝과 소멸하는 시작을 의미한다고 본다.

 즉 하늘을 바탕으로 공간운동과 시간운동의 최후 완성상태이자 소멸과 흩어짐의 최초 시작점이 일신(一神)임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일(一)<5-9>; 천일신(天一神)을 의미

 종( )<6-9>; 천일신(天一神)으로부터 공간운동이 완성되고 흩어짐을 나타내는 문자

 무( )<7-9>; 하늘원(○)을 나타내는 문자( 순수 형상)

 종( )<8-9>; 지일신(地一神)으로부터 시간운동이 완성되고 소멸하는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

 일(一)<9-9>; 지일신(地一神)을 의미

 첫 문장과 끝 문장은 서로 짝을 이루는 문구로서 하늘을 근본과 바탕으로 생겨나고 소멸하며 모이고 흩어지는 천지라는 땅은 끊임없이 변한다는 것으로 영원한 것은 하늘일 뿐 존재의 형태로 나타난 땅은 생성장사의 시간적인 과정과 생성쇠락의 공간적인 과정을 거치는 변화의 존재들임을 나타내는 문장이라 본다.

 따라서 땅으로 들어난 어떤 존재든 반드시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는 무상한 존재임을 나타내는 문장이 첫 문장과 끝 문장이라 본다.

 그러므로 고대한국인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은 생성장사의 시간적인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고 생성쇠락의 공간적인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기에 이왕에 거쳐야할 과정이라면 서로가 건강하고 즐거운 시간적인 과정을 거치는 것이 올바른 길이고 서로가 평화롭고 화합하는 행복한 공간적인 과정을 거치는 것이 올바른 길임을 학문적인 논리로 구축했다고 보는데 그 가르침들의 핵심적 결실이 천부경과 소도경전들을 포함한 한국학 계열의 경전들이라 본다.

 어떤가?

 오늘날의 현실은 이와 반대로 가고 있지 않은가?

 결국 어떤 길을 걸을지는 인간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고대 한국인들은 인간을 포함한 땅으로 나타난 모든 존재들은 하늘로 돌아가야 할 무상한 존재들이니 이를 깊이 깨닫고 시간적으로는 스스로가 건강하고 즐거운 인생을 보내야 하며 공간적으로는 서로가 화합하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야 함을 간절히 담아 인류에게 그 가르침을 전했다고 본다.

 따라서 오늘날 인류문명의 정신적인 가르침들은 모두 고대한국인들이 뿌린 씨앗에서 파생되었다고 보기에 인류문명의 첫 정신적 스승은 고대한국인들로서 전 세계로 퍼져나간 오늘날의 정신적 가지들에 이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해 주어야할 시기가 지금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러므로 그 일이 곧 고대 선조들을 대신해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하느님께서 맡기신 시대적인 사명이 아닌가 생각한다.

 좀 더 사설을 늘어놓자면 우리는 고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는데 너무 물질적인 형태에 치우친 삶을 살고 있다 보니 더욱 그런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따라서 동서의 고대인들이 쓴 여러 문자적인 의미도 정신적인 면보다는 눈에 보이는 물질본위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보는데 그 중 한 예가 사람인(人)자와 관련 된 문자라 본다.

 사람인자와 관련된 기호로는 가림토의 ( )과 은문천부경에 쓰인 ( )과 ( ), 한글자음의 시옷이 있다고 보는데 시옷 형태는 무언가 생명을 내려다보고 있는, 지켜보고 있는 형태에서 그러한 -<신이나 정신적인 무엇으로 이해해도 좋다.>- 존재를 자각하고 드디어 그 존재와 소통하는 차원으로 생명의 정신적인 수준이 상승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인(人)자는 곧 단순한 생명활동차원에 머물던 생명의 역사에서 자신을 자각하고 돌아볼 수 있는 아니면 신(神)을 자각할 수 있는 특별한 존재로 정신적인 차원의 상승이 이루어진 무언가가 나타났다는 의미로 ( )에 정신적인 상승을 의미하는 뜻으로 사람인(人)자나 시옷과 비슷한 문자적인 형태를 만들어 썼다고 본다.

 따라서 사람인자 형태의 문자는 그러한 특별한 존재가 사람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보 며 고대한국학과 연계 시키면 삼신상제(三神上帝)의 하느님을 자각한 생명이 곧 사람 이라는 의미로 사람인(人)자 형태의 문자를 만들어 내었다고 본다.

 그러므로 사람인(人)에 일(一)자를 합친 큰대(大)자는 사람 중에 삼신상제의 하느님과 일치하는 완성된 상태 즉 부처나 그리스도와 같은 열매 맺은 큰 사람을 의미하는 뜻을 나타낸다고 본다.

 따라서 이렇게 해석해야만 천부경의 의미나 홍익인간의 의미가 제대로 반영되게 됨으 로 우리 선조들이 만들어낸 문자적인 의미로 연계가 가능해지게 되나 옥편식의미로 풀 게 되면 아무런 의미도 없이 그저 사람이 서있는 모습을 옆에서 보고 본뜬 글자가 사람 인(人)이고 사람이 크게 손발을 벌린 모습이 큰대(大)자라는 별 이상한 풀이가 나오게 된다.

 사람만 두 발로 서지는 않는다.

 유인원도 사람만은 못해도 두 발로 선다.

 또한 사람이 두 팔 두 발을 활짝 벌린 모습이 큰대(大)자라니 이건 참 웃기는 풀이이 다.

 눈에 보이는 것 중에 사람보다 더 큰 형상이 얼마나 많은가?

 오래된 나무도 있고 큰 산도 있고 대지와 강과 자연과 바다도 있다.

 그런데 굳이 인간이 손발을 다 펼친 모습을 본뜬 것이 큰대(大)자라니 이건 억지가 좀 심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물질은 한계가 있지만 정신은 무한하다.

 그러므로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생명은 현재로서는 사람이 유일하다.

 따라서 당연히 사람인(人)은 짐승과는 구분되는 사람의 정신과 관련된 문자로 이해해야 하며 큰대(大)자 또한 가장 고귀한 상태로 정신적인 차원의 상승이 이루어진 최고의 인 격신을 나타내는 의미로 해석해야 만이 자연스럽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이 짐승과 다른 점이 정신인데 정신과 관련된 문자로 이해하지 않는다 면 은문 천부경에 쓰인 사람인(人)과 큰대(大)자의 용도를 이해하기가 어렵게 된다고 본다.

 오늘날 쓰이는 한자의 거의 모든 풀이가 이러한 정신적인 면은 제대로 고려하지를 않고 짐승과 인간을 같은 선상에 놓고 유물론적인 시각으로 풀이하는 바람에 옥편식 의미 풀 이로는 은문과 같은 고대 문자들이 삼십 퍼센트도 제대로 풀리지 않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고 본다.

 자신의 뿌리 글자라면서 현재 발굴된 고대문자의 의미를 삼분의 일도 제대로 풀어내지 못한다는 것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옥편이 픽션이자 소설이라고 이 사람이 전에 말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장담하지만 정신이 고려된 천부경의 우주론으로 풀면 은문과 같은 고대문자는 거의 해 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이래저래 입씨름으로 감정을 상할 것도 없이 옥편으로는 제대로 풀리지 않는 고대 문자가 은문천부경의 우주론으로는 풀린다면 이미 게임은 끝난 것이 아니겠는가?

                                                                            2012년 7월

베가스카지노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문제(베일리) Think like a man of action and act like man of thought.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노력하는가가 문제이다.(쿠베르탕) 조용한 물이 깊이 흐른다.(릴리) "다른 인간을 증오하는 댓가는 나는 미래에 대해서는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는 곧 오고 말 것이므로. of course 인생을 해롭게 하는 비애를 버리고 명랑한 기질을 간직하라.(세익스피어)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노력하는가가 문제이다.(쿠베르탕) 작은 구멍 하나가 큰 배를 침몰시키는 것이다.(에프라임 도마라츠키)
←↓말도 행동이고 행동도 말의 일종이다.(에머슨) Only the just man enjoys peace of mind. Think like a man of action and act like man of thought.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쳐라.그리하면 늙으도 그것을 떠나지 않으리라.(성경) 인류를 위해 사는 것은 자기의 이름을 위해 사는 것보다 훌륭한 것이다.(바첼 린드세이) 말만 하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잡초로 가득 찬 정원과 같다.(하우얼) 내일의 모든 꽃은 오늘의 씨앗에 근거한 것이다.(중국 속담)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